도시인상
박능생 기획초대전

Nov 4, 2015 – Nov 30, 2015

Introduction
박능생의 그림을 보는 3가지 시선

1.도시 방랑자

독일의 대표적 표현주의 영화로 프리츠랑(Fritz Lang)이 감독한 ‘메트로폴리스'(Metropolis, 1929)에서는 미래의 도시를 암울한 디스토피아로그려냈다. 아찔한 고층빌딩 숲과 도로 위 가득한 자동차행렬 등 외형적 모습뿐 아니라 계급과 자본의 갈등구조와 집단 무의식에 대한 접근까지 21세기 대도시에 대한 예견과 분석이 정확하다. 영화 시종()에 이런 메시지가 나온다. “머리와 손의 중재자는 심장이어야 한다.”(Mittler zwischen Hirnund Hánden muss das Herz sein) 도시의 계급과 메시야에 대한 메타포이지만 달리보면 심장은 이성과 감성의 중재자인 예술가 일 수도 있겠다. 19세기 산업사회가 도래하며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가 집중되고 새로운 질서가 형성되며 도시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현대인들의 보편적 삶의 공간이 되었다. 작금의 현대미술에서 다양한 도시담론이 언급되고 다뤄지고 있는 것은 더 이상 특이한 현상이 아니다. 도시는 비참한 가난과 극도의 부유함이 공존하며 하루도 쉼 없이 변화한다. 생명체처럼 태어나 성장하고 변화, 발전하며 소멸하기도 한다. 박능생 작가는 서울을 비롯해 유럽과 미국, 중국, 인도 등 세계 여러 도시공간과 풍경에 주목한다. 피상적이고 감상적인 시선이 아닌 미련스레 몸으로 체험, 기록하여 그만의 언어로 체집된 도시의 에너지를 담는다. 수묵과 아크릴, 목탄, 토분과 오일스틱 등 다양한 재료의 번짐과 흡습을 통해 도시에 집적한 세월과 여러 얼엉국은 다느 주요 소재가 되는 건 삶의 터전인 ‘서울’이다. 서울은 세계 어디에 내놔도 손색없는 대규모의 현대도시다. 고대의 역사와 첨단의 현재가 함께하며, 고요한 산세를 가진 자연과 역동적인 밤 문화가 뒤섞인 서울은 다채롭고 부산하다. 작가는 도시 높은 곳에서 때론 가까이 그 곳의 민낯을 대하고 감정의 선대로 재배치한다. ‘서울풍경도’같은 횡권의 대작은 수많은 산봉우리를 반복해 오르며 다양한 시점과 독특한 구도로 저고 서리 빚어낸 수행의 결과다. ‘서울풍경도 I, II’로 이름지어진 도시 실경화들은 무수한 점과 선들이 어우러지는 가운데 산과 길을 구분하고 그 사0자고 성세한 필치로 집과 건물들을 그려놓은 가로 5m가 넘는 장쾌한 파노라마다. 철저한 사생을 통해 현장을 기록하며 체화되지 않은 허상(허무를 경계한다. 난지도와 독산동 시리즈 등에서는 도시를 좀더 숨업해 들어간다. 위태한 빅버거 마냥 켜켜이 쌓아올린 건물과 사라과 뒤드뒤엉키고, 누런 흙더미로 파헤쳐진 도시 위로 잿빛 빗방울이 유령처럼 흐른다. 도시의 부조리하고 소멸되어지는 것들에 대한 잔흔이자 상기다. 그림 속 도시의 익명의 사람들은 작은 백색의 그림자가 되거나, 바벨탑처럼 높이 솟은 마천루는 어느 산봉우리 하나 압도하지 못하다 서리 뚝 떼어진 도시조각과 촘촘히 그려낸 상가건물 사이로 삶의 고단함이 흐른다. 세월이 쌓이고 꿈이 지난다. 도시는 완성이 없는 과정에의 존재다 가드 시비가 끝이지 않는 그러나 헤어지기 쉽지 않은 애증의 공간이다. 작가의 도시는 그렇게 끝끝내 떠나지 않는다.

2. 헤르메스(Hermes)의 눈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헤르메스는 날개달린 모자 페타소스(Petasos)를 쓰고, 탈라리아(Talaria)를 신고 동방의 사자 지팡이를 차고 ‘초월과 전이, 건너 감의 상징인 여행자의 신이다. 헤르마(Herma)는 ‘경계’를 의미하며, 인간에게는 꿈을 전하고, 신들의 뜻을 전하는 사자로 경계를 건너는 존재이기도 하다. 저승과 이승을 넘나들며 시공간을 자유로이 여행하는 헤르메스는 지혜와 호기심과 모험심으로 충만한 메신저이다. 박능생 작가의 작품을 보는 중요한 열쇠 중 하나는 경계를 오가는 여행자의 시선이다. 그의 그림은 여행자의 눈으로 볼 때 더욱 가까이 다가온다. 원주민에겐 별것 아닌 시장이나 골목길이 초행의 나그네에겐 더없이 매력적이다. 작가는 세계 여러 곳을 체험하고 사람들을 만나며 내면과 조우하는 풍경의 감흥을 통감각적으로 조율하여 기록한다. 여행은 습관화되지 않은 어떤 것을 만나는 일이다. 그것은 쓰지 않았던 감각의 근육을 깨우고 의식을 확장시킨다.
여행으로 얻은 경험의 분량과 감정의 진폭을 여과시킨 그의 회화는 실경의 해체와 재가공을 거친 진경의 재생이다. 일상에서 발견하지 못한 아름다움과 보이지 않는 그 너머의 것에 대한 끊임없는 호기심의 발현( 이다. 거리 위 유쾌한 수런거림, 광활한 이국의 산하, 첨단 빌딩과 역사적 고성의 위엄이 수묵의 점점을 타고 시간의 겹을 따라 선으로 뻗어 설렘과 낯설음을 담아 낸다. 누군가에게 익숙한 서울풍경도 그의 그림을 통하면 생경하고 현현한 아름다움으로 다가 오는 이유다. 신에게 미처 전하지 못하고 헤르메스의 주머니 속에서 툭 떨어진 두루마리 그림을 만날 시간이다.

3. 낭만산수

치아한 산등성이와 눈뿌리가 아득하게 펼쳐진 기암절벽 아래로 한 마리 새처럼 몸을 던진다. 서슬 오른 자연의 위용을 마주한 두려움은 이내 솟구쳐 오르는 희열의 무아경으로 바뀐다. 탄성을 받아 율동하는 선은 산수를 가로질러 심연의 우주를 희롱한다. 박능생 작가의 대표적 연작인 번지점프는 특정한 풍경의 조합으로 생긴 신비한 여백과 다차원의 공간을 배경으로 한다. 시간의 흐름과 이동의 시점에 따라 분할된 그림 속에 툭 던져짐으로 초현실적 화룡정점의 역할을 하며 모던하고 신선한 풍치를 돋운다. 입축과 횡관으로 연장된 화면 위에 청룡이 감춰든 듯한
휘몰림과 평반의 물처럼 고요한 정적이 공존하는 그의 그림은 로맨티시즘을 얹은 현대 산수로도 읽힌다.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작가의 감정을
개입하여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강조했다.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재조합된 이미지들은 실제보다 더욱 관객을 압도하며 다가온다. 전통의 조형원리에
얽매임 없이 다양한 탈 쟝르와 미디엄을 실험하면서도 작가는 늘 먹을 놓지 않는다. 신기하고 오묘한 자연을 담는데 있어 먹은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매체다. 먹은 나무나 식물을 태워서 만든 탄소입자와 아교를 섞어 만든다. 단순한 검정이 아니라 자연의 모든 색을 머금고 있다.
물과 함께 오묵과 육채의 변화로 채색 이상의 깊고 풍부한 느낌을 준다. 선혈 같은 붉은 산과 초록의 봉우리로부터 붓으로 깍아 내린 준 한 수묵의 선이
흐른다. 작가의 그림은 첫눈에 시선을 사로잡는 화려한 기교나 꾸밈새보다 자꾸 뒤돌아보게 하는 고졸한 맛이 있다. 지자요수 인자요산
이라, 어질고 지혜롭거나 혹은 악하고 아둔할지라도 산과 물을 떠나 살 수 없다. 작가의 그림 안과 밖이 온통 물이고 산이다. 미망에서
피안으로 건너는 다리 어디 쯤 그의 그림을 걸어 두고 삶을 바라본다.

시각예술에세이스트_박노영

Installation Views

Media Coverage
Artist
도시인상
박능생 기획초대전

Nov 4, 2015 – Nov 30, 2015

Introduciton
박능생의 그림을 보는 3가지 시선

1.도시 방랑자

독일의 대표적 표현주의 영화로 프리츠랑(Fritz Lang)이 감독한 ‘메트로폴리스'(Metropolis, 1929)에서는 미래의 도시를 암울한 디스토피아로그려냈다. 아찔한 고층빌딩 숲과 도로 위 가득한 자동차행렬 등 외형적 모습뿐 아니라 계급과 자본의 갈등구조와 집단 무의식에 대한 접근까지 21세기 대도시에 대한 예견과 분석이 정확하다. 영화 시종()에 이런 메시지가 나온다. “머리와 손의 중재자는 심장이어야 한다.”(Mittler zwischen Hirnund Hánden muss das Herz sein) 도시의 계급과 메시야에 대한 메타포이지만 달리보면 심장은 이성과 감성의 중재자인 예술가 일 수도 있겠다. 19세기 산업사회가 도래하며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가 집중되고 새로운 질서가 형성되며 도시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현대인들의 보편적 삶의 공간이 되었다. 작금의 현대미술에서 다양한 도시담론이 언급되고 다뤄지고 있는 것은 더 이상 특이한 현상이 아니다. 도시는 비참한 가난과 극도의 부유함이 공존하며 하루도 쉼 없이 변화한다. 생명체처럼 태어나 성장하고 변화, 발전하며 소멸하기도 한다. 박능생 작가는 서울을 비롯해 유럽과 미국, 중국, 인도 등 세계 여러 도시공간과 풍경에 주목한다. 피상적이고 감상적인 시선이 아닌 미련스레 몸으로 체험, 기록하여 그만의 언어로 체집된 도시의 에너지를 담는다. 수묵과 아크릴, 목탄, 토분과 오일스틱 등 다양한 재료의 번짐과 흡습을 통해 도시에 집적한 세월과 여러 얼엉국은 다느 주요 소재가 되는 건 삶의 터전인 ‘서울’이다. 서울은 세계 어디에 내놔도 손색없는 대규모의 현대도시다. 고대의 역사와 첨단의 현재가 함께하며, 고요한 산세를 가진 자연과 역동적인 밤 문화가 뒤섞인 서울은 다채롭고 부산하다. 작가는 도시 높은 곳에서 때론 가까이 그 곳의 민낯을 대하고 감정의 선대로 재배치한다. ‘서울풍경도’같은 횡권의 대작은 수많은 산봉우리를 반복해 오르며 다양한 시점과 독특한 구도로 저고 서리 빚어낸 수행의 결과다. ‘서울풍경도 I, II’로 이름지어진 도시 실경화들은 무수한 점과 선들이 어우러지는 가운데 산과 길을 구분하고 그 사0자고 성세한 필치로 집과 건물들을 그려놓은 가로 5m가 넘는 장쾌한 파노라마다. 철저한 사생을 통해 현장을 기록하며 체화되지 않은 허상(허무를 경계한다. 난지도와 독산동 시리즈 등에서는 도시를 좀더 숨업해 들어간다. 위태한 빅버거 마냥 켜켜이 쌓아올린 건물과 사라과 뒤드뒤엉키고, 누런 흙더미로 파헤쳐진 도시 위로 잿빛 빗방울이 유령처럼 흐른다. 도시의 부조리하고 소멸되어지는 것들에 대한 잔흔이자 상기다. 그림 속 도시의 익명의 사람들은 작은 백색의 그림자가 되거나, 바벨탑처럼 높이 솟은 마천루는 어느 산봉우리 하나 압도하지 못하다 서리 뚝 떼어진 도시조각과 촘촘히 그려낸 상가건물 사이로 삶의 고단함이 흐른다. 세월이 쌓이고 꿈이 지난다. 도시는 완성이 없는 과정에의 존재다 가드 시비가 끝이지 않는 그러나 헤어지기 쉽지 않은 애증의 공간이다. 작가의 도시는 그렇게 끝끝내 떠나지 않는다.

2. 헤르메스(Hermes)의 눈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헤르메스는 날개달린 모자 페타소스(Petasos)를 쓰고, 탈라리아(Talaria)를 신고 동방의 사자 지팡이를 차고 ‘초월과 전이, 건너 감의 상징인 여행자의 신이다. 헤르마(Herma)는 ‘경계’를 의미하며, 인간에게는 꿈을 전하고, 신들의 뜻을 전하는 사자로 경계를 건너는 존재이기도 하다. 저승과 이승을 넘나들며 시공간을 자유로이 여행하는 헤르메스는 지혜와 호기심과 모험심으로 충만한 메신저이다. 박능생 작가의 작품을 보는 중요한 열쇠 중 하나는 경계를 오가는 여행자의 시선이다. 그의 그림은 여행자의 눈으로 볼 때 더욱 가까이 다가온다. 원주민에겐 별것 아닌 시장이나 골목길이 초행의 나그네에겐 더없이 매력적이다. 작가는 세계 여러 곳을 체험하고 사람들을 만나며 내면과 조우하는 풍경의 감흥을 통감각적으로 조율하여 기록한다. 여행은 습관화되지 않은 어떤 것을 만나는 일이다. 그것은 쓰지 않았던 감각의 근육을 깨우고 의식을 확장시킨다.
여행으로 얻은 경험의 분량과 감정의 진폭을 여과시킨 그의 회화는 실경의 해체와 재가공을 거친 진경의 재생이다. 일상에서 발견하지 못한 아름다움과 보이지 않는 그 너머의 것에 대한 끊임없는 호기심의 발현( 이다. 거리 위 유쾌한 수런거림, 광활한 이국의 산하, 첨단 빌딩과 역사적 고성의 위엄이 수묵의 점점을 타고 시간의 겹을 따라 선으로 뻗어 설렘과 낯설음을 담아 낸다. 누군가에게 익숙한 서울풍경도 그의 그림을 통하면 생경하고 현현한 아름다움으로 다가 오는 이유다. 신에게 미처 전하지 못하고 헤르메스의 주머니 속에서 툭 떨어진 두루마리 그림을 만날 시간이다.

3. 낭만산수

치아한 산등성이와 눈뿌리가 아득하게 펼쳐진 기암절벽 아래로 한 마리 새처럼 몸을 던진다. 서슬 오른 자연의 위용을 마주한 두려움은 이내 솟구쳐 오르는 희열의 무아경으로 바뀐다. 탄성을 받아 율동하는 선은 산수를 가로질러 심연의 우주를 희롱한다. 박능생 작가의 대표적 연작인 번지점프는 특정한 풍경의 조합으로 생긴 신비한 여백과 다차원의 공간을 배경으로 한다. 시간의 흐름과 이동의 시점에 따라 분할된 그림 속에 툭 던져짐으로 초현실적 화룡정점의 역할을 하며 모던하고 신선한 풍치를 돋운다. 입축과 횡관으로 연장된 화면 위에 청룡이 감춰든 듯한
휘몰림과 평반의 물처럼 고요한 정적이 공존하는 그의 그림은 로맨티시즘을 얹은 현대 산수로도 읽힌다.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작가의 감정을
개입하여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강조했다.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재조합된 이미지들은 실제보다 더욱 관객을 압도하며 다가온다. 전통의 조형원리에
얽매임 없이 다양한 탈 쟝르와 미디엄을 실험하면서도 작가는 늘 먹을 놓지 않는다. 신기하고 오묘한 자연을 담는데 있어 먹은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매체다. 먹은 나무나 식물을 태워서 만든 탄소입자와 아교를 섞어 만든다. 단순한 검정이 아니라 자연의 모든 색을 머금고 있다.
물과 함께 오묵과 육채의 변화로 채색 이상의 깊고 풍부한 느낌을 준다. 선혈 같은 붉은 산과 초록의 봉우리로부터 붓으로 깍아 내린 준 한 수묵의 선이
흐른다. 작가의 그림은 첫눈에 시선을 사로잡는 화려한 기교나 꾸밈새보다 자꾸 뒤돌아보게 하는 고졸한 맛이 있다. 지자요수 인자요산
이라, 어질고 지혜롭거나 혹은 악하고 아둔할지라도 산과 물을 떠나 살 수 없다. 작가의 그림 안과 밖이 온통 물이고 산이다. 미망에서
피안으로 건너는 다리 어디 쯤 그의 그림을 걸어 두고 삶을 바라본다.

시각예술에세이스트_박노영

Installation Views

Media Coverage
Artist